📖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3,218건

통화량

통화량이란, 한 국가 경제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경제 주체들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과 예금 등 유동성이 높은 자산의 총량을 의미한다. 통화량은 경제 활동의 규모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물가, 금리, 환율 등 다양한 경제 변수에 영향을 미친다.

측정 지표

통화량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지표들을 통해 측정된다. 각 지표는 포함하는 자산의 범위에 따라 구분된다.

  • 본원통화 (M0): 중앙은행이 발행한 현금 통화와 은행의 지급준비금으로 구성된다. 통화량 조절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지표이다.

  • 협의통화 (M1): 본원통화에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저축성예금 등을 더한 것이다. 즉시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을 포함한다.

  • 광의통화 (M2): M1에 만기 2년 미만의 정기예금, 적금, 시장형 금융상품 등을 더한 것이다. M1보다 넓은 범위의 유동성 자산을 포함한다.

  • 금융기관 유동성 (Lf): M2에 2년 만기 이상의 금융상품,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등을 더한 것이다.

  • 광의유동성 (L): Lf에 회사채, CP(기업어음) 등 기타 금융상품을 더한 가장 넓은 범위의 유동성 지표이다.

통화량과 경제

통화량은 경제 성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통화량 증가는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여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과도한 통화량 증가는 총수요를 증가시켜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 반대로, 통화량 감소는 경기 침체를 야기할 수 있다.

통화 정책

중앙은행은 통화 정책을 통해 통화량을 조절한다. 금리 조절, 지급준비율 조정, 공개시장 조작 등의 수단을 활용하여 통화량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경제 안정을 도모한다. 예를 들어, 금리를 인하하면 기업과 가계의 대출 비용이 낮아져 투자가 증가하고, 이는 통화량 증가로 이어진다.

주의점

통화량 지표는 경제 상황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이지만, 단독으로 해석하기보다는 다른 경제 지표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또한, 금융 환경의 변화에 따라 통화량 지표의 의미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