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순리

순리(順理)는 사물의 당연한 이치나 도리를 의미한다. 넓게는 자연의 법칙, 사회의 규범, 인간관계의 도덕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순리대로'라는 표현은 일이 자연스럽게, 또는 예상대로 진행될 때 주로 사용되며,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흐름에 따르는 것을 강조한다.

어원 및 유래

'순리'는 한자어 '順(순할 순)'과 '理(다스릴 리)'가 결합된 단어이다. '順'은 '따르다', '順응하다' 등의 의미를 가지며, '理'는 '이치', '도리' 등의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순리'는 '이치에 순응하다' 또는 '도리를 따르다'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의미 및 용례

  • 자연의 순리: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이 일정한 법칙에 따라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계절의 변화, 생물의 성장과 소멸 등이 자연의 순리에 해당한다.
  • 사회의 순리: 사회 구성원들이 지켜야 할 규범이나 도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법질서 준수, 공공질서 유지 등이 사회의 순리에 해당한다.
  • 인간관계의 순리: 인간관계에서 지켜야 할 예의나 도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어른을 공경하고 아랫사람을 배려하는 것 등이 인간관계의 순리에 해당한다.

관련 개념

  • 섭리: 인간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는 초월적인 힘에 의해 세상 일이 이루어진다는 개념. 순리와 유사하게 자연스러운 흐름을 의미하지만, 초월적인 힘이 개입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도리: 사람이 마땅히 행해야 할 바른 길이나 의무. 순리와 유사하게 인간이 지켜야 할 규범을 의미하지만, 도리는 주로 윤리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 이치: 사물의 당연한 조리나 까닭. 순리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이며, 순리는 이러한 이치에 따르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 문헌

  • 표준국어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