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면도
단면도는 물체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가상적인 절단면으로 잘라낸 모습을 투영하여 그린 그림이다. 건축, 토목, 기계, 지질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복잡한 구조를 시각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도면이다.
개요
단면도는 단순히 물체를 자른 모양을 보여주는 것을 넘어, 내부 구성 요소들의 위치 관계, 재료의 종류, 연결 방식 등을 상세하게 표현한다. 이를 통해 설계자는 시공 가능성을 검토하고, 시공자는 도면을 바탕으로 정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종류
단면도는 절단면의 방향과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 수직 단면도: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물체를 절단한 단면도. 건축물의 층별 구조나 설비 배치를 보여주는 데 주로 사용된다.
- 수평 단면도: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물체를 절단한 단면도. 평면도와 함께 사용되어 공간의 구성과 내부 설비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 부분 단면도: 특정 부분만을 절단하여 상세하게 보여주는 단면도. 복잡한 연결 부위나 특수한 구조를 설명할 때 사용된다.
- 회전 단면도: 물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절단한 단면도. 축대칭 형상의 내부 구조를 표현하는 데 적합하다.
활용 분야
- 건축: 건물의 구조, 층별 구성, 설비 배치 등을 표현하여 설계 의도를 전달하고 시공의 정확성을 높인다.
- 토목: 지반의 단층 구조, 암반의 분포, 지하 시설물의 위치 등을 파악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공사를 가능하게 한다.
- 기계: 기계 부품의 내부 구조, 작동 원리, 연결 방식 등을 보여주어 설계, 제작, 유지보수에 활용된다.
- 지질학: 지층의 구조, 광물의 분포, 지하수의 흐름 등을 분석하여 지질 현상을 연구하고 자원 개발에 기여한다.
- 의학: CT나 MRI와 같은 의료 영상 기술을 통해 인체 내부의 단면 이미지를 얻어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한다.
표현 방법
단면도에는 절단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구별하기 위해 해칭(Hatching) 기법을 사용한다. 해칭은 선의 간격, 방향, 굵기 등을 조절하여 재료의 종류나 밀도를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치수, 주석, 기호 등을 사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