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1,170건

보건사회부

보건사회부 (保健社會部,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는 대한민국 정부의 과거 중앙 행정 기관으로, 국민 보건 향상, 질병 예방 및 치료, 약무 행정, 위생 관리, 사회 복지 증진, 노동 조건 개선 및 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였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초기부터 존재했으며, 여러 차례의 조직 개편을 거쳐 기능이 분리되거나 명칭이 변경되었다.

역사 보건사회부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1948년 7월 17일 보건부와 사회부를 통합하여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보건, 위생, 의료, 약무, 방역 등 보건 분야와 더불어 사회사업, 후생, 근로, 주택, 물가, 영양 등 사회 분야 전반을 관장하는 광범위한 업무를 수행했다. 이후 경제 성장과 사회 변화에 따라 조직과 기능에 변화가 있었다. 특히 1981년 4월 8일 노동 관련 사무가 노동부(현 고용노동부)로 이관되면서 보건사회부는 주로 보건, 의료, 사회 복지 분야에 집중하게 되었다. 1994년 12월 23일에는 보건복지부로 명칭이 변경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주요 기능 설립 초기부터 해체 시점까지 보건사회부가 수행했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보건 및 의료: 공중보건 증진, 질병 예방 및 관리, 의료 제도 운영, 의료 인력 관리, 의료 기관 관리, 약무 행정 등
  • 위생: 환경 위생, 식품 위생, 검역 등
  • 사회 복지: 사회 보험 (국민연금, 의료보험 등), 생활 보호, 아동·노인·장애인 복지, 여성 복지 (초기) 등
  • 노동 (1981년 이전): 근로 기준, 산업 안전, 직업 안정, 노사 관계 등

해체 및 계승 보건사회부는 1994년 보건복지부로 개편되면서 현재의 보건복지부의 전신이 되었다. 노동 관련 기능은 1981년 분리되어 노동부(현 고용노동부)로 이관되었다. 따라서 보건사회부는 현재의 보건복지부와 고용노동부의 일부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했던 과거의 정부 부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