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14건

수신사

수신사는 조선 말기 개항 이후 일본에 파견된 사절단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주로 1876년 강화도 조약 체결 이후 일본의 문물과 제도를 시찰하고 외교 관계를 수립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개요

강화도 조약 이후 조선은 일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서구 열강의 압박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에 사절단을 파견할 필요성을 느꼈다. 수신사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파견되었으며, 단순한 외교 사절의 역할을 넘어 일본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탐구하고 개화 정책의 방향을 모색하는 중요한 임무를 수행했다.

역사

  • 제1차 수신사: 1876년 강화도 조약 체결 후 김기수가 수신사로 임명되어 일본에 파견되었다. 그는 일본의 근대 문물을 시찰하고 돌아와 《일동기유(日東記游)》를 저술하여 일본의 상황을 조선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
  • 제2차 수신사: 1880년 김홍집이 수신사로 파견되었다. 그는 일본에서 황준헌의 《조선책략》을 얻어 귀국하여 국내에 소개하였다. 《조선책략》은 러시아의 남하 정책에 대한 경계심을 불러일으키고, 친중국, 결일본, 연미국의 외교 정책을 제시하여 조선의 외교 노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제3차 수신사: 1882년 박영효가 수신사로 파견되었다. 그는 일본으로 가는 배 안에서 태극기를 국기로 제정할 것을 건의하고, 일본에서 태극기를 처음으로 사용했다.

의의와 영향

수신사 파견은 조선이 외부 세계에 눈을 뜨고 근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일본의 발전된 문물과 제도를 직접 확인하면서 개화 운동의 방향을 설정하고 개혁 정책을 추진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수신사들의 보고와 제안은 갑신정변과 같은 정치적 혼란을 야기하기도 했으며, 일본에 대한 맹목적인 추종을 불러일으키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었다.

같이 보기

  • 강화도 조약
  • 개화 정책
  • 김기수
  • 김홍집
  • 박영효
  • 조선책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