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792건

적석총

적석총(積石塚)은 돌을 쌓아 만든 무덤의 한 종류이다. 주로 고대 한반도 북부 지역과 만주 지역에서 발견되며, 특히 고구려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으로 알려져 있다.

개요

적석총은 나무 곽(덧널) 위에 돌을 쌓아올린 형태로, 그 형태와 규모는 다양하다. 초기에는 단순한 돌무지 형태에서 시작하여 점차 계단식으로 발전하기도 하였다. 돌을 쌓는 방식에 따라 순수하게 돌만 쌓는 방식과, 흙과 돌을 섞어 쌓는 방식 등으로 나뉜다.

역사 및 분포

적석총은 고조선 시대부터 시작되어 고구려 초기에 크게 유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구려의 건국 세력이 북방 유목민족의 영향을 받아 돌무덤을 축조하기 시작했다는 설도 있다. 대표적인 적석총으로는 고구려의 시조인 동명성왕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졸본 적석총과, 장군총 등이 있다. 또한, 만주 지역의 고구려 유적에서도 다수의 적석총이 발견된다. 한반도 내에서는 고구려의 영향력 아래 있었던 지역에서 일부 확인된다.

특징

  • 구조: 나무 덧널 위에 돌을 쌓아 올려 만든다.
  • 재료: 주로 강돌이나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돌을 사용한다.
  • 형태: 초기에는 단순한 돌무지 형태에서 점차 계단식으로 발전한다.
  • 분포: 주로 고구려의 영역이었던 한반도 북부와 만주 지역에 분포한다.
  • 의미: 고구려 지배층의 권력과 위세를 상징하는 건축물로 여겨진다.
  • 도굴: 구조적인 취약성으로 인해 도굴 피해를 많이 입었다.

참고 문헌

  •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사전』, 사회평론, 2001
  •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구려 적석총』,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