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907건

갑골

갑골은 고대 중국 상나라(商, 기원전 1600년경~기원전 1046년경) 시대에 사용된 점술 기록으로, 주로 거북의 배딱지(腹甲)나 소의 어깨뼈(肩胛骨)에 새겨졌다. 갑골문은 한자의 가장 오래된 형태 중 하나이며, 초기 한자의 발달 과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개요

갑골은 점을 친 내용과 그 결과를 기록한 것으로, 상나라 왕실에서 국가의 중요한 정책 결정이나 개인의 길흉화복을 점치기 위해 사용되었다. 점을 치는 사람은 갑골에 구멍을 뚫고 불에 달군 쇠붙이로 지져서 나타나는 균열의 모양을 보고 점괘를 해석했다. 점을 친 내용, 점을 친 날짜, 점을 친 사람, 점괘의 내용, 그리고 그 결과 등을 갑골에 새겨 기록했다.

발견 및 연구

갑골은 1899년에 왕의영(王懿榮)에 의해 처음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은허(殷墟, 현재의 허난성 안양시) 지역에서 대량으로 발굴되었으며, 지금까지 약 15만 점 이상이 발견되었다. 갑골문 연구는 뤄전위(羅振玉), 왕궈웨이(王国維), 둥쭤빈(董作賓), 궈모뤄(郭沫若) 등 여러 학자들에 의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갑골문 해독을 통해 상나라의 역사, 사회, 문화 등에 대한 많은 정보가 밝혀졌으며, 고대 중국사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갑골문의 내용

갑골문에는 주로 제사, 전쟁, 농사, 사냥, 천문, 기상 등 다양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왕실의 의례, 국가의 중대사, 왕족의 생활상 등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또한, 갑골문은 당시 사람들의 신앙, 가치관, 세계관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의의

갑골은 고대 중국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이며, 한자의 기원과 발달 과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갑골문 해독을 통해 상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 걸친 정보가 밝혀졌으며, 고대 중국 문명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갑골은 단순한 점술 기록을 넘어, 고대 중국 문명의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