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35건

등기법

등기법은 대한민국에서 부동산 및 동산에 관한 권리 변동 사항을 공시하기 위한 등기 절차와 효력을 규정하는 법률이다. 부동산등기법과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이 주요 구성 요소이다.

개요

등기법은 국민의 재산권 보호와 거래의 안전을 도모하는 데 목적을 둔다. 등기를 통해 권리관계를 명확히 하여 불필요한 분쟁을 예방하고, 권리 변동 사항을 제3자에게 공시함으로써 예측 가능한 거래 환경을 조성한다. 등기 제도는 권리 변동의 원인과 내용, 당사자 등을 기록한 공적 장부인 등기부를 기반으로 운영된다.

주요 내용

  • 등기 대상: 부동산(토지, 건물)과 동산(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에 따른 동산)이 주요 등기 대상이다.
  • 등기 절차: 등기 신청, 심사, 등기 실행, 등기 완료 등의 절차를 규정한다.
  • 등기 효력: 등기의 공신력(제3자에 대한 대항력), 추정력, 순위 확정 효력 등을 규정한다.
  • 등기 종류: 소유권보존등기, 소유권이전등기, 저당권설정등기, 전세권설정등기 등 다양한 종류의 등기를 규정한다.
  • 등기부: 등기 기록의 형식, 내용, 관리 등을 규정한다.

관련 법규

  • 부동산등기법
  •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
  • 민법 (물권법)
  • 상법 (회사 등기 관련)
  • 등기예규
  • 등기선례

참고 사항

등기법은 지속적으로 개정되고 있으며, 최신 법령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등기 관련 분쟁 발생 시에는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