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우울제
항우울제는 우울증을 비롯한 다양한 기분 장애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신경전달물질, 특히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등의 뇌 내 농도를 조절하여 기분과 관련된 증상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작용 기전:
항우울제는 다양한 작용 기전을 통해 효과를 나타낸다. 주요 작용 기전은 다음과 같다.
-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SSRI): 세로토닌 재흡수를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시냅스 간극 내 세로토닌 농도를 증가시킨다. 플루옥세틴, 세ルトラ린, 파록세틴, 시탈로프람, 에스시탈로프람 등이 대표적이다.
-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SNRI):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두 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벤라팍신, 둘록세틴, 데스벤라팍신 등이 대표적이다.
- 삼환계 항우울제 (TCA):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하지만, SSRI나 SNRI에 비해 다른 수용체에도 작용하여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높다. 아미트리프틸린, 노르트리프틸린, 이미프라민 등이 있다.
-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 (MAOI): 모노아민 산화효소를 억제하여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등의 분해를 막아 농도를 증가시킨다. 다른 항우울제와 상호작용 위험이 높아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 페넬진, 트라닐시프로민 등이 있다.
- 기타 항우울제: 위에서 언급된 기전 외에 독자적인 작용 기전을 가진 항우울제도 존재한다. 미르타자핀, 부프로피온, 트라조돈 등이 있다.
적응증:
항우울제는 주로 다음과 같은 질환의 치료에 사용된다.
- 주요 우울 장애
- 불안 장애 (사회 불안 장애, 공황 장애, 범불안 장애 등)
- 강박 장애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
- 월경 전 불쾌 장애 (PMDD)
- 만성 통증
- 신경병증성 통증
부작용:
항우울제는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약물 종류에 따라 부작용의 종류와 정도가 다를 수 있다. 흔한 부작용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소화기계 문제 (구역, 구토, 설사, 변비 등)
- 수면 장애 (불면증, 졸림 등)
- 성 기능 장애 (성욕 감퇴, 발기 부전, 사정 장애 등)
- 체중 변화 (증가 또는 감소)
- 두통
- 어지럼증
- 불안, 초조
- 자살 충동 증가 (특히 청소년 및 젊은 성인)
주의사항:
항우울제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복용해야 하며, 임의로 복용을 중단해서는 안 된다. 특히 MAOI 복용 중에는 특정 음식이나 약물과의 상호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항우울제 복용 중 자살 충동이 느껴진다면 즉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해야 한다. 임신 또는 수유 중인 여성은 항우울제 복용 전 반드시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