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26건

해저

해저는 해수면 아래에 잠겨 있는 지구 표면의 부분을 지칭한다. 해저 지형은 육지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기복을 가지고 있으며, 대륙붕, 대륙사면, 해저평원, 해령, 해구 등 다양한 지형 요소로 구성된다.

해저 지형의 주요 구성 요소:

  • 대륙붕 (Continental Shelf): 육지에서 완만하게 경사진 해저 지역으로, 수심이 200m 이내인 경우가 많다.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며, 어업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곳이다.

  • 대륙사면 (Continental Slope): 대륙붕에서 급경사로 깊어지는 해저 지역이다. 해저 협곡이 발달하기도 한다.

  • 해저평원 (Abyssal Plain): 대륙사면 아래에 넓게 펼쳐진 평탄한 해저 지역으로, 수심이 3,000m ~ 6,000m에 이른다. 주로 육지에서 운반된 퇴적물이나 해양 생물의 유해 등이 쌓여 형성된다.

  • 해령 (Mid-Ocean Ridge): 해저에 길게 뻗어 있는 산맥으로, 판의 경계에서 마그마가 분출하여 형성된다. 중앙 해령에서는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된다.

  • 해구 (Ocean Trench): 해저에서 가장 깊은 곳으로, 판이 충돌하여 섭입하는 지역에 형성된다. 수심이 6,000m를 넘는 곳도 많으며, 지구상에서 가장 깊은 마리아나 해구가 대표적이다.

해저 연구:

해저 지형은 지질학, 해양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대상이 된다. 해저 지형의 형성과 변화 과정, 해저 생태계의 특성, 해저 자원의 분포 등을 연구하여 지구 환경 변화를 이해하고, 해양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해저 자원:

해저에는 석유, 천연가스, 망간단괴, 해저 열수 광상 등 다양한 자원이 존재한다. 이러한 해저 자원은 미래 에너지 및 광물 자원으로서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참고 자료:

  • 해양수산부
  • 한국해양과학기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