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생물종(生物種, species)은 생물 분류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로, 서로 교배하여 생식 능력이 있는 자손을 생산할 수 있는 개체들의 집단을 의미한다. 넓은 의미에서는 형태, 생리, 생태 등 다양한 특성을 공유하며, 유전적으로도 다른 집단과 구분되는 개체들의 집합을 가리킨다.
생물종을 정의하는 방법은 다양하며, 대표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생물학적 종 개념: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개념으로, 자연 상태에서 서로 교배하여 생식 능력이 있는 자손을 낳을 수 있는 집단을 하나의 종으로 본다. 그러나 이 개념은 무성생식을 하는 생물이나 화석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
형태학적 종 개념: 형태적 특징이 유사한 개체들을 같은 종으로 분류하는 방법이다. 고생물학에서 화석을 분류할 때 주로 사용되지만, 종 내에서도 형태적 변이가 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
생태학적 종 개념: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가 유사한 개체들을 같은 종으로 분류하는 방법이다. 즉, 비슷한 환경에서 비슷한 방식으로 살아가는 개체들을 같은 종으로 보는 것이다.
-
계통학적 종 개념: 유전적 유사성을 기준으로 종을 분류하는 방법이다. DNA 염기서열 분석 등을 통해 유전적으로 뚜렷하게 구분되는 집단을 하나의 종으로 정의한다.
생물종은 진화의 기본 단위이며, 생물 다양성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이다. 새로운 종은 돌연변이, 자연 선택, 유전적 부동 등 다양한 진화적 과정을 통해 탄생한다. 생물종의 분류 및 연구는 생명의 역사를 이해하고, 생물 다양성을 보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생물종의 수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현재까지 약 170만 종이 명명되었으며, 앞으로 발견될 종은 수백만에서 수천만 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