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3,472건

철골조

철골조는 건축물의 뼈대를 철골(강철 뼈대)로 구성하는 구조 방식이다. 철골 구조는 고강도와 우수한 내진성을 가지며, 비교적 넓은 공간을 확보하기 용이하여 고층 건물, 공장, 체육관, 창고 등 다양한 건축물에 널리 사용된다.

개요

철골조는 기둥, 보, 트러스 등의 주요 구조 부재를 강철로 제작하고, 이를 용접, 볼트 접합, 리벳 접합 등의 방식으로 연결하여 뼈대를 구성한다. 철골 구조는 콘크리트 구조에 비해 단위 중량이 가볍고 강도가 높아 동일한 하중을 지지할 때 더 작은 단면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징

  • 고강도: 철골은 콘크리트에 비해 강도가 매우 높아 고층 건물을 건설하는 데 적합하다.
  • 내진성: 철골은 탄성이 좋아 지진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다.
  • 넓은 공간 확보: 철골 구조는 기둥 간 간격을 넓게 설계할 수 있어 넓은 공간을 확보하기 용이하다.
  • 시공 속도: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 재활용성: 철골은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인 건축 재료로 평가받는다.

종류

  • 강골조: 탄소 함량이 낮은 연강을 사용하여 용접성이 우수하고 가공이 용이하다. 일반적인 건축물에 널리 사용된다.
  • 고장력강골조: 항복 강도가 높은 고장력강을 사용하여 강도가 더욱 우수하다. 초고층 건물이나 장대 교량 등에 사용된다.

시공 방법

철골조는 설계, 제작, 운반, 조립, 검사의 단계를 거쳐 시공된다. 설계 단계에서는 건축물의 용도, 하중, 지반 조건 등을 고려하여 철골 구조의 형태와 크기를 결정한다. 제작 단계에서는 설계 도면에 따라 철골 부재를 공장에서 제작한다. 운반 단계에서는 제작된 철골 부재를 건설 현장으로 운반한다. 조립 단계에서는 철골 부재를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세우고 용접, 볼트 접합, 리벳 접합 등의 방식으로 연결하여 뼈대를 완성한다. 검사 단계에서는 철골 구조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비파괴 검사 등을 실시한다.

장단점

구분 장점 단점
장점 고강도, 내진성 우수, 넓은 공간 확보 용이, 시공 속도 빠름, 재활용 가능 부식에 취약, 화재에 약함, 초기 투자 비용 높음
단점 부식에 취약 초기 투자 비용이 높음
화재에 약함 유지보수 비용 발생 가능성 존재

유지 관리

철골조는 부식 방지를 위해 정기적인 도장 작업이 필요하며, 화재에 대비하여 내화 피복을 시공해야 한다. 또한, 지진 등의 재해 발생 후에는 철골 구조의 안전성을 점검하고 필요에 따라 보수 보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