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0,454건

맨체스터 베이비

맨체스터 베이비는 1948년 영국 맨체스터 빅토리아 대학교에서 개발된 초기 실험용 컴퓨터이다. 정식 명칭은 Small-Scale Experimental Machine (SSEM)이지만, 그 크기가 작고 맨체스터에서 개발되었기 때문에 '맨체스터 베이비'라는 별칭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이 컴퓨터는 전자식 메모리(윌리엄스 튜브)에 프로그램을 완전히 저장하여 실행한 최초의 컴퓨터로 알려져 있다. 이는 현대 컴퓨터의 핵심 설계 원리인 '프로그램 내장 방식(Stored-program concept)'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프레더릭 C. 윌리엄스(Frederic C. Williams) 교수와 그의 동료 톰 킬번(Tom Kilburn), 제프 투틸(Geoff Tootill) 등이 개발을 주도했다.

맨체스터 베이비는 매우 제한적인 기능을 가졌으며, 단 세 가지 명령어만으로 작동했다. 1948년 6월 21일, 킬번이 작성한 간단한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실행하며 역사적인 순간을 기록했다. 이 프로그램은 두 수 중 큰 수를 찾는 알고리즘을 구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맨체스터 베이비의 성공은 이후 맨체스터 마크 1(Manchester Mark 1) 컴퓨터 개발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고, 이는 세계 최초의 상업용 범용 컴퓨터 중 하나인 페란티 마크 1(Ferranti Mark 1)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맨체스터 베이비는 비록 실험적인 목적이었으나, 현대 컴퓨터 발전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이정표 역할을 한 기계로 평가받는다. 현재는 맨체스터 과학 산업 박물관에 복원된 작동 모델이 전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