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113건

산화수

산화수 (Oxidation Number)는 화학에서 원자가 화합물 내에서 전자를 얻거나 잃은 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형식전하라고도 불리며, 일반적으로 원자가 다른 원자와 결합할 때 전자를 얼마나 주고받았는지를 가정한 후 각 원자에 부여하는 가상의 전하입니다.

정의 및 계산

산화수는 다음 규칙에 따라 결정됩니다.

  1. 홑원소 물질: 홑원소 물질의 산화수는 0입니다 (예: O₂, Fe, H₂).
  2. 단원자 이온: 단원자 이온의 산화수는 이온의 전하와 같습니다 (예: Na⁺의 산화수는 +1, Cl⁻의 산화수는 -1).
  3. 플루오린: 화합물에서 플루오린(F)의 산화수는 항상 -1입니다.
  4. 산소: 대부분의 화합물에서 산소(O)의 산화수는 -2입니다. 단, 과산화물(예: H₂O₂)에서는 -1, OF₂에서는 +2입니다.
  5. 수소: 대부분의 화합물에서 수소(H)의 산화수는 +1입니다. 단, 금속 수소화물(예: NaH)에서는 -1입니다.
  6. 화합물의 산화수 합: 중성 화합물에서 각 원자의 산화수와 원자수의 곱의 합은 0입니다. 이온의 경우, 산화수 합은 이온의 전하와 같습니다.

산화수의 용도

  • 산화-환원 반응 판별: 산화수의 변화는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났음을 나타냅니다. 산화수가 증가하면 산화, 감소하면 환원입니다.
  • 화학식 명명법: 화합물의 이름을 명명할 때 산화수를 활용하여 구별합니다 (예: 철(II) 산화물, 철(III) 산화물).
  • 반응식 균형 맞추기: 산화수를 이용하여 산화-환원 반응식의 계수를 맞출 수 있습니다.
  • 화학적 성질 예측: 산화수를 통해 특정 원소의 화합물이 어떤 반응을 할지 예측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산화수는 실제 전하가 아니라 전자를 주고받았다고 가정한 가상의 값입니다. 따라서 공유 결합 화합물에서 산화수는 실제 전하 분포와 다를 수 있습니다. 산화수를 결정하는 규칙에는 예외가 있을 수 있으며, 복잡한 화합물에서는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