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활근
평활근 (平滑筋, smooth muscle)은 척추동물 내장 기관의 벽을 구성하는 근육 조직의 한 종류이다. 횡문근(가로무늬근)인 골격근 및 심장근과는 달리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가로무늬가 보이지 않아 붙여진 이름이다.
특징
- 구조: 평활근 세포는 길쭉한 방추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단핵 세포이다. 세포질에는 액틴과 미오신 필라멘트가 존재하지만,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아 가로무늬가 나타나지 않는다. 세포들은 세포외기질과 연결되어 조직을 형성한다.
- 수축: 평활근은 자율 신경계의 조절을 받으며, 호르몬이나 국소적인 화학적 신호에도 반응하여 수축한다. 수축 속도는 골격근에 비해 느리지만,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인 수축을 유지할 수 있다. 칼슘 이온 농도 변화가 수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위치: 평활근은 위장관, 혈관, 방광, 자궁, 기관지 등 다양한 내장 기관의 벽을 구성한다. 눈의 홍채, 피부의 입모근 등에도 존재한다.
- 기능: 평활근은 내장 기관의 운동을 조절하고, 혈관의 직경을 조절하여 혈압을 유지하며, 방광이나 자궁의 수축을 통해 내용물을 배출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소화, 혈액 순환, 호흡, 생식 등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 조절: 평활근의 수축은 자율 신경계(교감 신경 및 부교감 신경)와 호르몬에 의해 조절된다. 예를 들어, 위장관의 평활근은 부교감 신경의 자극을 받아 수축하여 소화를 촉진하며, 혈관의 평활근은 교감 신경의 자극을 받아 수축하여 혈압을 상승시킨다.
종류
- 단일단위 평활근 (Single-unit smooth muscle): 세포들이 세포 간 연결(gap junction)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하나의 세포가 자극을 받으면 전체 근육이 동시에 수축한다. 주로 내장 기관 벽에 존재하며, 연동 운동과 같은 리듬 있는 수축을 담당한다.
- 다중단위 평활근 (Multi-unit smooth muscle): 각 세포가 독립적으로 신경 지배를 받아 수축한다. 눈의 홍채나 혈관 벽에 존재하며, 보다 정밀하고 세밀한 조절이 가능하다.
임상적 중요성
평활근 기능 이상은 다양한 질환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관지 평활근의 과도한 수축은 천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혈관 평활근의 이상은 고혈압이나 혈관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위장관 평활근의 기능 이상은 소화 불량, 변비, 과민성 대장 증후군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참고 문헌
- (관련 의학 교과서 및 생리학 교과서)
- (관련 연구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