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365건

띄어쓰기

띄어쓰기는 글을 읽기 쉽고 명확하게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단어와 단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는 것을 말한다. 띄어쓰기는 한국어 문법의 중요한 부분이며, 잘못된 띄어쓰기는 문장의 의미를 왜곡하거나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기본 원칙:

  • 단어별 띄어쓰기: 한국어에서 띄어쓰기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은 단어별로 띄어 쓰는 것이다. 여기서 단어는 자립 형태소와 이에 붙는 조사로 이루어진다.

  • 조사, 어미, 접사 붙여쓰기: 조사는 체언 뒤에 붙어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고, 어미는 용언의 어간에 붙어 활용하며, 접사는 단어의 뜻을 더하거나 품사를 바꾸는 역할을 한다. 이들은 앞 단어에 붙여 쓴다.

  • 의존 명사 띄어쓰기: 명사적 기능을 하지만 홀로 쓰일 수 없는 의존 명사는 앞 단어와 띄어 쓴다. (예: 할 수 있다, 아는 것)

  • 수사 띄어쓰기: 수를 나타내는 말인 수사는 만 단위로 띄어 쓴다. (예: 십억 원)

  • 고유 명사, 전문 용어 띄어쓰기: 고유 명사와 전문 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도 있다. (예: 한국 대학교, 한국대학교)

띄어쓰기의 중요성:

띄어쓰기는 문장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띄어쓰기 하나로 문장의 뜻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방에들어가신다"는 띄어쓰기에 따라 "아버지 가방에 들어가신다." 또는 "아버지 가, 방에 들어가신다." 와 같이 전혀 다른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띄어쓰기 관련 자료: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한글 맞춤법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