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455건

미생물

정의: 육안으로 관찰하기 어려울 정도로 작은 크기의 생명체를 통칭하는 말이다. 단세포 또는 다세포 생물일 수 있으며, 세균, 고세균, 진균, 원생생물, 바이러스 등을 포함한다. 미생물은 지구상 거의 모든 환경에 존재하며 생태계의 물질 순환, 질소 고정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인간에게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식품 생산, 의약품 생산 등 유용한 목적으로도 활용된다.

분류:

  • 세균 (Bacteria): 원핵생물에 속하며, 단세포이며 대부분 세포벽을 가지고 있다. 다양한 대사 경로를 가지고 있으며, 토양, 물, 공기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한다. 일부는 질병을 일으키지만, 많은 종류가 인간에게 유익한 역할을 한다.

  • 고세균 (Archaea): 원핵생물에 속하며, 세균과 유사하지만 유전적으로나 생화학적으로 차이가 크다. 극한 환경 (고온, 고염분, 고산성 등)에서 주로 서식하는 종류가 많다.

  • 진균 (Fungi): 진핵생물에 속하며, 곰팡이, 버섯 등을 포함한다. 대부분 다세포이지만, 효모와 같이 단세포인 종류도 있다. 기생성 또는 부생성으로 생활하며, 식품 생산, 의약품 생산 등에 이용된다.

  • 원생생물 (Protista): 진핵생물에 속하며, 광합성을 하는 조류, 아메바와 같은 단세포 생물, 그리고 다세포 생물 등 다양한 생물을 포함한다. 단세포 원생생물은 주로 물속에 서식하며, 일부는 질병을 일으키기도 한다.

  • 바이러스 (Virus): 생명체로 분류하기 어려운 존재로, 숙주 세포 내에서만 증식할 수 있다. 핵산 (DNA 또는 RNA)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질병을 일으킨다.

생태계에서의 역할:

미생물은 생태계의 물질 순환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분해자로서 유기물을 무기물로 분해하며, 질소 고정을 통해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질소를 공급한다. 또한, 다른 생물과 공생 관계를 맺어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인간과의 관계:

미생물은 인간에게 이로운 점과 해로운 점 모두를 가지고 있다. 유용한 미생물은 식품 발효 (요구르트, 김치, 빵 등), 항생제 생산, 환경 정화 등에 이용되며, 해로운 미생물은 각종 질병을 일으킨다. 따라서, 미생물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은 인간의 건강과 삶의 질에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