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령
단령(團領)은 조선시대에 관리들이 평상시 집무복으로 입던 옷이다. 깃이 둥근 형태를 하고 있어 '단령'이라 불린다. 고려 시대 공복에서 유래했으며, 조선 시대에 들어와 관복 체계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형태와 구성:
단령은 둥근 깃[團領, 단령]에 소매가 넓고, 앞이 트여 활동하기 편하도록 만들어졌다. 가슴과 등에는 계급을 나타내는 흉배(胸背)를 부착하고, 허리에는 품대(品帶)를 둘렀다. 흉배는 문관과 무관의 종류가 달랐으며, 계급에 따라 자수된 동물의 종류와 수가 달랐다. 품대는 신분에 따라 재료와 장식에 차이가 있었다.
색상과 용도:
단령의 색상은 관직의 품계에 따라 달랐다. 조선 초기에는 녹색, 홍색, 청색 등 다양한 색상이 사용되었으나, 점차 홍색이 정색으로 자리 잡았다. 왕세자는 자색 단령을 입었다. 단령은 평상시 집무복으로 사용되었을 뿐 아니라, 중요한 행사나 의례에도 착용되었다.
변천:
단령은 조선 건국 이후 기본적인 형태를 유지하며 약간의 변화를 겪었다. 흉배의 문양과 품대의 재료, 장식 등이 시대에 따라 변화했으며, 말기에는 색상에도 변화가 있었다. 고종 때에는 군복에도 단령의 형태가 일부 적용되기도 했다.
현대적 의미:
단령은 조선 시대 관복 제도의 중요한 부분을 보여주는 유물로서, 복식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현대에는 전통 복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단령의 형태를 모티브로 한 디자인이 등장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