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운지정
망운지정(望雲之情)은 자식이 객지에서 부모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고사성어이다.
어원 및 유래
《본초습유(本草拾遺)》에 다음과 같은 고사에서 유래한다. 중국 춘추시대에 벼슬을 하던 계찰(季札)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고향에 있는 늙은 부모를 몹시 그리워했는데, 항상 흰 구름이 떠가는 방향을 바라보며 부모님을 생각했다고 한다. 여기서 '구름을 바라본다'는 뜻의 망운(望雲)과 '정'을 뜻하는 지(之), '마음'을 뜻하는 정(情)이 합쳐져 '망운지정'이라는 고사성어가 생겨났다.
의미
망운지정은 자식이 타지에서 부모를 뵙지 못하는 상황에서 부모를 그리워하는 애틋한 마음을 나타낸다. 부모에 대한 효심과 걱정, 안타까움 등이 복합적으로 담겨있는 감정이다.
용례
- "고향을 떠나온 지 오래되어 망운지정의 마음이 간절하다."
- "명절이 다가오니 더욱 망운지정을 금할 수 없다."
- "성공하여 고향에 금의환향하는 것이 부모님의 망운지정에 보답하는 길이다."
유의어
- 반포지효(反哺之孝):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성.
- 풍수지탄(風樹之嘆): 부모가 돌아가신 후에 효도하려고 해도 이미 늦었다는 탄식.
관련 항목
- 효(孝)
- 부모
- 그리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