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3,953건

다크 도메인

다크 도메인(Dark Domain)은 정보 기술 분야에서, 조직 내부에 존재하지만 잘 알려지지 않았거나 문서화되지 않은 시스템, 프로세스, 데이터 저장소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러한 영역은 공식적인 IT 관리 및 보안 정책의 범위 밖에 존재하며, 가시성이 낮아 잠재적인 위험 요소로 간주된다.

특징

  • 가시성 부족: IT 부서나 경영진이 해당 시스템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중요도를 낮게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 문서화 미비: 시스템의 구성, 기능, 데이터 흐름에 대한 문서가 부족하거나 존재하지 않아 유지보수 및 문제 해결이 어렵다.
  • 보안 취약점: 공식적인 보안 감사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아 보안 취약점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 기술 부채 누적: 최신 기술 트렌드에서 벗어나 노후화된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기술 부채가 누적될 수 있다.
  • 데이터 사일로화: 다른 시스템과의 연동이 어렵거나 불가능하여 데이터가 격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발생 원인

  • 섀도우 IT: IT 부서의 승인 없이 개별 부서나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구축하고 운영하는 시스템.
  • 인수 합병 (M&A): 인수된 기업의 시스템이 통합 과정에서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고 방치되는 경우.
  • 기술 변화: 과거에는 중요했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시스템이 제대로 폐기되지 않고 남아있는 경우.
  • 커뮤니케이션 부족: IT 부서와 현업 부서 간의 소통 부족으로 인해 시스템 정보가 공유되지 않는 경우.

위험 요소

  • 보안 침해: 보안 취약점을 악용한 해킹 시도에 노출될 위험이 높다.
  • 규정 준수 위반: 개인정보보호법, GDPR 등 관련 법규 준수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 운영 중단: 시스템 장애 발생 시 신속한 복구가 어려워 업무 마비로 이어질 수 있다.
  • 데이터 유실: 데이터 백업 및 복구 체계가 미흡하여 데이터 유실 위험이 높다.
  • 의사 결정 오류: 부정확하거나 불완전한 데이터로 인해 잘못된 의사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있다.

대응 방안

  • 실태 조사: 전사적인 시스템 및 데이터 현황 파악을 통해 다크 도메인을 식별한다.
  • 위험 평가: 식별된 다크 도메인의 위험 수준을 평가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 통합 관리: 다크 도메인을 공식적인 IT 관리 체계에 통합하고 보안 정책을 적용한다.
  • 데이터 거버넌스: 데이터 품질 관리 및 데이터 표준화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한다.
  • 지속적인 모니터링: 다크 도메인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