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산염
규산염은 규소와 산소를 기본으로 하는 음이온(SiO₄⁻⁴)을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광물을 총칭한다. 지구 지각의 약 90% 이상을 구성하는 광물로서, 매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규산염 광물은 구조에 따라 독립형, 단사슬형, 복사슬형, 판상형, 망상형 등으로 분류되며, 각 구조는 독특한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구성 및 구조
규산염의 기본 구성 단위는 사면체 구조의 (SiO₄)이다. 이 사면체는 산소 원자 4개가 규소 원자 1개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이며, 이 사면체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규산염 광물의 구조를 형성한다. 연결 방식에 따라 네소규산염(독립형), 소로규산염(복사면체형), 사이클로규산염(고리형), 이노규산염(사슬형), 필로규산염(판상형), 텍토규산염(망상형) 등으로 나뉜다.
- 네소규산염 (독립형): (SiO₄) 사면체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감람석(olivine) 등이 대표적이다.
- 소로규산염 (복사면체형): 두 개의 (SiO₄) 사면체가 산소 원자를 공유하며 연결된 구조이다.
- 사이클로규산염 (고리형): (SiO₄) 사면체가 고리 모양으로 연결된 구조이다.
- 이노규산염 (사슬형): (SiO₄) 사면체가 사슬 모양으로 길게 연결된 구조로, 단사슬과 복사슬 구조가 있다. 휘석(pyroxene)과 각섬석(amphibole)이 대표적이다.
- 필로규산염 (판상형): (SiO₄) 사면체가 판 모양으로 연결된 구조로, 층상 구조를 가지며 얇게 쪼개지는 성질이 있다. 흑운모(biotite)와 백운모(muscovite), 점토 광물 등이 대표적이다.
- 텍토규산염 (망상형): (SiO₄) 사면체가 3차원 망상 구조로 연결된 구조로, 석영(quartz)과 장석(feldspar) 등이 대표적이다.
특성
규산염 광물은 구조에 따라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보인다. 경도, 색깔, 쪼개짐, 광택 등이 다르며, 화학적 안정성 또한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독립형 구조의 감람석은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형성되며 화학적 풍화에 약한 반면, 망상형 구조의 석영은 낮은 온도에서도 안정하며 화학적 풍화에 강하다.
용도
규산염 광물은 건설, 산업,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석영은 유리 제조, 반도체 산업에 사용되며, 장석은 도자기 제조에 사용된다. 점토 광물은 건축 자재, 화장품, 의약품 등에 사용되며, 비료의 원료로도 사용된다. 또한, 규산염 광물은 보석으로도 가치가 높아 장식용으로도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