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78,694건

경복궁 흠경각

흠경각(欽敬閣)은 조선 시대 경복궁 안에 있던 누각으로, 옥루기륜(玉漏機輪)을 설치하여 시간을 측정하고 천문 관측을 하던 곳이다. 세종 때 장영실 등이 주도하여 제작한 자동 물시계인 옥루기륜을 보관하고 관리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역사

흠경각은 세종 16년(1434년)에 창건되었으며, 옥루기륜을 설치하여 백성들에게 시간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였다. 옥루기륜은 정교한 기계 장치로 움직이는 인형을 통해 시간을 표시하고, 자동으로 종을 쳐서 시간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했다. 그러나 흠경각은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고, 이후 재건되지 못했다.

기능

흠경각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시간 측정: 옥루기륜을 이용하여 정확한 시간을 측정하고 관리했다.
  • 천문 관측: 천체의 움직임을 관측하여 역법(曆法)을 연구하고 개선하는 데 활용했다.
  • 시간 알림: 옥루기륜의 자동 장치를 통해 백성들에게 시간을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했다.

의의

흠경각은 조선 시대 과학 기술의 발전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옥루기륜과 같은 첨단 기기를 통해 시간을 측정하고 천문 관측을 했다는 점에서 당시 과학 기술 수준을 엿볼 수 있다. 또한, 백성들에게 시간을 알려주는 공공 서비스를 제공했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현재 흠경각은 터만 남아 있으며, 그 위치는 경복궁 자선당 서쪽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