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07건

정전

정전은 전력 공급의 중단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전기 에너지의 생산, 송전, 배전 과정 중 어느 단계에서든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원인과 영향은 다양하다. 정전의 규모는 가정 한 곳의 단순한 차단기 트립부터 광범위한 지역의 대규모 정전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원인: 정전의 원인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 자연재해: 폭풍, 허리케인, 토네이도, 지진, 홍수, 산불 등 자연재해는 전력 시설에 직접적인 손상을 입히거나, 나무가 전선에 닿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 사고: 전력 시설의 고장, 작업 중 발생하는 실수, 차량 충돌, 지하 매설물 손상 등 예측 불가능한 사고가 정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과부하: 전력 수요가 공급 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과부하로 인해 정전이 발생한다. 여름철 냉방기 사용 증가 등 계절적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인위적 공격: 테러 행위, 고의적인 시설 파괴 등 인위적인 공격도 정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계획 정전: 전력 시설의 유지 보수, 개선 작업을 위해 계획적으로 전력 공급을 중단하는 경우이다.

영향: 정전은 개인, 기업, 사회 전체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 개인: 조명, 난방/냉방, 통신 등의 불편을 야기하며, 식품 변질, 의료 기기 작동 중단 등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 기업: 생산 중단, 데이터 손실, 재고 손실 등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키고, 기업 운영에 심각한 차질을 야기한다.
  • 사회: 교통 시스템 마비, 통신 두절, 사회 혼란 등 사회 전체의 기능 마비를 초래할 수 있다.

대비책: 정전 발생에 대한 대비책으로는 비상 발전기, 배터리 백업 시스템 사용, 비상 식량 및 물 확보, 안전 수칙 준수 등이 있다. 정부 및 전력 회사는 정전 예방 및 신속한 복구를 위한 시스템 구축과 예측 시스템 개발에 힘쓰고 있다.

관련 용어: 블랙아웃, 브라운아웃, 정전 예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