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9,749건

근시안

근시안(近視眼, myopia, nearsightedness)은 눈의 굴절 이상 중 가장 흔한 형태로, 먼 곳에 있는 물체의 상이 망막 뒤가 아닌 망막 앞에 맺혀 멀리 있는 사물을 선명하게 보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반면 가까운 물체는 비교적 선명하게 볼 수 있다.

원인

근시는 주로 다음과 같은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 안구 길이 과다 (축성 근시): 안구의 앞뒤 길이가 정상보다 길어서 빛이 망막에 도달하기 전에 초점이 맺히는 경우이다. 가장 흔한 근시의 원인이다.
  • 굴절력 과다 (굴절성 근시): 각막이나 수정체의 굴절력이 정상보다 강하여 빛이 너무 많이 꺾이는 경우이다.
  • 유전적 요인: 부모 중 한 명 또는 두 명 모두 근시인 경우 자녀가 근시가 될 확률이 높다.
  • 환경적 요인: 장시간의 근거리 작업(독서,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 등), 실내 활동 증가, 야외 활동 부족 등이 근시 발생 및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

  • 멀리 있는 물체(예: 간판, 칠판 글씨, TV 화면)가 흐릿하게 보인다.
  • 멀리 있는 것을 보기 위해 눈을 찡그리거나 반쯤 감는다.
  • 두통이나 눈의 피로를 느낄 수 있다.
  • 어린이의 경우, 텔레비전을 가까이에서 보거나 책을 너무 가까이 보는 등의 행동 변화를 보인다.

진단

근시는 안과 의사 또는 안경사의 정밀한 시력 검사 및 안과 검사를 통해 진단된다. 시력 검사 외에도 안저 검사, 자동 굴절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다.

교정 및 치료

근시를 교정하거나 관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교정 렌즈:
    • 안경: 오목 렌즈(음의 굴절력 렌즈)를 사용하여 빛의 초점을 망막 위로 정확하게 이동시켜 시력을 교정한다.
    • 콘택트렌즈: 눈에 직접 착용하는 렌즈로, 안경과 유사한 원리로 시력을 교정하며 미용적인 이점이 있다.
  • 굴절 수술:
    • 레이저 수술: 라식(LASIK), 라섹(LASEK), 스마일(SMILE) 등 각막의 모양을 변화시켜 굴절 이상을 교정하는 수술이다.
    • 안내 렌즈 삽입술: 눈 안에 특수 제작된 인공 렌즈를 삽입하여 시력을 교정하는 방법이다.
  • 근시 진행 억제 (주로 어린이):
    • 저농도 아트로핀 점안액: 매일 점안하여 근시 진행 속도를 늦추는 치료이다.
    • 드림렌즈 (Orthokeratology): 밤에 특수 하드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여 각막 형태를 일시적으로 변화시켜 낮 동안 안경 없이 잘 보이게 하는 동시에 근시 진행 억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 특수 설계된 안경 렌즈/콘택트렌즈: 근시 진행 억제를 위해 개발된 기능성 렌즈를 사용하기도 한다.
  • 생활 습관 교정: 장시간 근거리 작업 시 충분한 휴식 취하기(20분마다 20초 이상 먼 곳 보기 등), 충분한 야외 활동(햇빛 쬐기) 등이 근시 예방 및 진행 억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합병증 (고도 근시의 경우)

근시의 정도가 심한 고도 근시(보통 -6 디옵터 이상)의 경우 안구 구조의 변형이 동반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심각한 안과 질환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 망막 박리
  • 녹내장
  • 백내장 (발생 시기 앞당겨짐)
  • 근시성 황반 변성 (Myopic Maculopathy)

역학

근시는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매우 높은 시력 문제이며, 특히 동아시아 지역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근시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를 주요 공중 보건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