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47건

소아과

소아과 (小兒科, Pediatrics)는 신생아, 영아, 어린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질병의 예방, 진단, 치료 및 건강 관리 전반을 다루는 의학 분야이다. 소아는 성인과 생리적, 심리적 특성이 다르므로, 소아과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필요로 한다.

주요 진료 분야:

  • 감염성 질환: 감기, 독감, 폐렴, 기관지염, 수두, 홍역, 볼거리, 풍진, 수족구병 등 소아에게 흔히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한다. 예방접종을 통해 감염병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알레르기 질환: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천식, 식품 알레르기 등 알레르기 질환을 진단하고 관리한다.
  • 호흡기 질환: 기침, 콧물, 가래, 천명(wheezing) 등의 호흡기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한다.
  • 소화기 질환: 설사, 구토, 복통, 변비 등 소화기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한다.
  • 내분비 질환: 성장 장애, 성조숙증, 당뇨병 등 내분비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한다.
  • 신경계 질환: 발달 지연, 뇌전증, 두통 등 신경계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한다.
  • 신생아 질환: 미숙아, 황달, 호흡곤란 증후군 등 신생아에게 발생하는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한다.
  • 예방접종: 각종 감염병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한 예방접종을 시행한다.
  • 성장 및 발달 평가: 어린이의 성장과 발달을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 영양 상담: 어린이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영양 상담을 제공한다.

관련 용어:

  • 소아청소년과: 소아과와 청소년과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 신생아 집중 치료실 (NICU): 미숙아 또는 중증 질환을 가진 신생아를 집중적으로 치료하는 시설이다.

소아과 전문의는 의과대학 졸업 후 인턴 과정을 거쳐 소아과 레지던트 과정을 수료하고, 전문의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