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사
한의사는 한국의 전통 의학인 한의학을 바탕으로 진료하는 의료인을 말한다. 의료법에 따라 국가에서 시행하는 한의사 면허 시험에 합격하고 보건복지부 장관의 면허를 받은 사람만이 한의사로서 활동할 수 있다.
역할 및 업무
한의사는 문진, 망진, 촉진, 절진 등의 한의학적 진단 방법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침, 뜸, 부항, 한약, 추나 요법 등 다양한 한의학적 치료법을 활용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한다.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
- 진료: 환자의 병력 청취 및 진찰을 통해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한다.
- 침구 치료: 침, 뜸, 부항 등을 사용하여 경혈을 자극하여 기혈 순환을 촉진하고 통증을 완화시킨다.
- 한약 처방: 환자의 체질과 증상에 맞는 한약을 처방하여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증진시킨다.
- 추나 요법: 손이나 신체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환자의 척추, 관절, 근육 등을 교정하여 통증을 완화하고 기능을 회복시킨다.
- 건강 상담 및 교육: 환자에게 건강 관리 방법, 식이 요법, 운동 요법 등을 교육하고 상담한다.
- 연구: 한의학 이론 및 치료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한의학의 발전에 기여한다.
교육 및 면허
한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한의과대학 또는 한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고 한의사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한의과대학 및 한의학전문대학원에서는 한의학 이론, 임상 실습, 의료 윤리 등을 교육하며, 졸업 후에는 병원이나 한의원에서 인턴 또는 레지던트 과정을 거쳐 전문의가 될 수 있다.
법적 지위
한의사는 의료법에 따라 의사, 치과의사와 함께 의료인으로 분류되며, 독자적인 의료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한의사는 의료보험 급여 대상이 되는 진료 행위를 할 수 있으며, 의료기관 개설 및 운영 권한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