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536건

철도역

철도역 (鐵道驛, Railway station)은 열차가 정기적으로 정차하여 승객을 승하차시키고 화물을 싣고 내리는 시설을 갖춘 장소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역무 시설, 선로, 승강장 등으로 구성되며, 역의 규모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부대시설을 포함할 수 있다.

개요

철도역은 단순히 열차가 멈추는 장소를 넘어, 철도망의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한다. 역은 승객에게 이동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지역 경제 활성화와 사회적 연결망 강화에도 기여한다. 또한, 철도망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신호 제어, 차량 점검, 유지 보수 등의 기능도 담당한다.

구성 요소

철도역은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 역사 (驛舍, Station building): 승객 대기 공간, 매표소, 안내소, 화장실, 상업 시설 등이 위치한 건물.
  • 승강장 (Platform): 승객이 열차를 타고 내리는 공간.
  • 선로 (Track): 열차가 운행하는 길.
  • 신호 설비 (Signal equipment): 열차의 안전 운행을 위한 신호 시스템.
  • 역무 시설 (Station facilities): 역무원의 근무 공간, 통신 설비, 전력 설비 등.
  • 환승 시설 (Transfer facilities): 다른 교통 수단 (버스, 지하철, 택시 등)과의 연계를 위한 시설. (해당하는 경우)
  • 주차장 (Parking lot): 승객의 차량 주차를 위한 공간. (해당하는 경우)

종류

철도역은 기능, 규모,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 여객역 (Passenger station): 주로 승객의 승하차를 위한 역.
  • 화물역 (Freight station): 주로 화물의 적재 및 하역을 위한 역.
  • 신호장 (Signal station): 열차의 신호 제어만을 담당하는 역. (승객 취급을 하지 않음)
  • 간이역 (Simple station): 작은 규모의 역으로, 역무원이 상주하지 않는 경우도 있음.
  • 거점역 (Hub station): 여러 노선이 교차하는 대규모 역으로, 환승 기능을 제공.
  • 지상역 (Ground station): 지상에 위치한 역.
  • 지하역 (Underground station): 지하에 위치한 역.
  • 고가역 (Elevated station): 고가 철도 위에 위치한 역.

역할 및 중요성

철도역은 교통 체계의 핵심적인 부분으로서,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 이동 편의 제공: 승객에게 편리하고 안전한 이동 수단을 제공.
  • 지역 경제 활성화: 역 주변 지역의 상업 및 관광 활성화에 기여.
  • 사회적 연결망 강화: 지역 간, 도시 간 연결을 통해 사회적 교류 촉진.
  • 물류 효율성 증대: 화물 운송을 통해 물류 비용 절감 및 효율성 향상.
  • 국토 균형 발전: 철도망 확충을 통해 지역 간 격차 해소 및 균형 발전 도모.

관련 용어

  • 역무원 (Station staff): 역에서 근무하는 직원.
  • 역세권 (Station influence area): 역 주변 지역.
  • 플랫폼 스크린도어 (Platform screen door): 승강장 안전을 위한 스크린 도어.
  • 자동 개찰구 (Automatic ticket gate): 자동적으로 표를 확인하는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