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7,292건

재택

재택(在家)은 일반적으로 직장이나 사무실 등의 근무 장소로 출근하지 않고, 주로 자택(自宅), 즉 집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근무 형태를 의미한다. '집에서'라는 공간적 개념과 '업무를 본다'는 행위적 개념이 결합된 용어이다.

개념 및 정의

재택근무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확산되었다. 넓은 의미에서는 출장이 잦은 직종이나 외근 중심의 직무도 재택근무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회사에 출근하지 않고 집에서 인터넷, 전화, 화상회의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회사와 소통하며 업무를 처리하는 형태를 지칭한다.

등장 배경 및 역사

재택근무는 1970년대 석유 파동 이후 에너지 절약의 한 방편으로 처음 등장했다는 설이 있다. 이후 1990년대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했으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보편화되었다.

장점 및 단점

  • 장점:
    • 출퇴근 시간 절약 및 교통 혼잡 완화
    • 업무 집중도 향상 (개인차 존재)
    • 유연한 근무 시간 조정 가능
    • 육아 및 가사 병행 용이
    • 기업 입장에서는 사무실 유지 비용 절감 가능
  • 단점:
    • 업무와 사생활의 경계 모호
    • 동료와의 소통 부족 및 고립감 발생 가능
    • 자기 통제력 부족 시 생산성 저하
    • 정보 보안 문제 발생 가능성 증대
    • 기업 입장에서는 직원 관리의 어려움 발생 가능

관련 용어

  • 원격근무: 재택근무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반드시 집이 아니더라도 사무실 외의 장소에서 근무하는 것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 스마트워크: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제약 없이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근무 방식을 의미한다. 재택근무는 스마트워크의 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사회적 영향

재택근무는 개인의 삶의 질 향상, 기업의 생산성 향상, 사회적 비용 절감 등 다양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동시에 개인의 고립감 심화, 정보 보안 문제, 노동 시장의 양극화 심화 등 부정적인 영향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재택근무의 효과적인 도입 및 운영을 위해서는 개인, 기업, 정부 차원의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