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6,815건

주마간산

주마간산은 달리는 말 위에서 산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자세히 보지 못하고 대충 훑어보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어원 및 유래

주마간산은 중국 당나라 시인 맹교(孟郊)의 시 <등과후(登科後)>에서 유래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맹교가 과거에 합격한 후 기쁜 마음으로 세상을 둘러보는 모습을 묘사한 시에서 "지난날에는 뜻대로 되지 않아 봄바람에 흡사 말 달리는 듯했으니, 지금은 하루아침에 장안의 꽃을 다 보았네(昔日齷齪不足誇,今朝放蕩思無涯。春風得意馬蹄疾,一日看盡長安花)."라는 구절이 등장하는데, 여기서 '말 달리는 듯'이라는 표현이 후대에 '주마간산'이라는 성어로 변형되어 사용되었다.

의미 및 용례

주마간산은 깊이 있는 이해 없이 겉핥기식으로 사물을 파악하거나, 대충 훑어보며 지나치는 행위를 비판적으로 묘사할 때 사용된다. 어떤 대상을 깊이 연구하거나 충분히 음미하지 못하고 형식적으로만 스쳐 지나가는 상황을 설명할 때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번 박람회는 시간이 부족해서 주마간산으로 둘러볼 수밖에 없었다"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유의어

  • 수박 겉핥기
  • 피상적
  • 건성건성
  • 마이동풍(馬耳東風)

반의어

  • 심사숙고(深思熟考)
  • 정독(精讀)
  • 면밀(綿密)
  • 세심(細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