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진각
우진각은 한국 전통 건축 용어로서, 지붕의 형태를 설명하는 말이다. 특히 사모지붕이나 육모지붕, 팔모지붕 등 다각형 지붕에서 처마를 받치는 기둥 위쪽의 가구(架構) 구성 방식 중 하나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지붕의 무게를 기둥으로 전달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기둥 위에 공포를 짜서 하중을 분산시키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기둥 위에 바로 지붕틀을 놓는 방식이다. 우진각은 후자에 속하며, 기둥머리에서 바로 지붕 면이 시작되는 형태를 띤다.
우진각 방식은 공포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고 간결하며, 따라서 비교적 규모가 작거나 실용적인 건축물에 주로 사용되었다. 정자나 사당, 문루 등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우진각 지붕은 처마선이 직선으로 떨어지며, 지붕의 경사가 완만하여 안정적인 느낌을 준다. 또한, 지붕의 네 귀퉁이가 모두 같은 형태로 처리되어 대칭적인 아름다움을 강조한다.
참고 문헌
- 한국건축사 (저자 정보 필요)
- 문화재청 (관련 자료 링크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