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09건

탈황

탈황은 연료, 배기가스, 산업 공정 등에서 황 화합물을 제거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황 화합물은 연소 시 이산화황(SO₂)과 같은 대기오염 물질을 생성하며, 이는 산성비, 호흡기 질환, 건물 부식 등의 환경 및 건강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탈황은 대기 질 개선과 환경 보호를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다.

탈황의 목적

  • 대기오염 감소: 이산화황을 비롯한 황 화합물의 배출을 줄여 대기 질을 개선한다.
  • 산성비 예방: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황산화물의 대기 중 농도를 낮춘다.
  • 건강 보호: 황 화합물로 인한 호흡기 질환 등 인체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한다.
  • 설비 부식 방지: 황 화합물에 의한 산업 설비 및 건축물의 부식을 방지한다.

탈황의 방법

탈황 방법은 대상 물질과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된다. 주요 탈황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연료 탈황: 연료에 포함된 황 화합물을 연소 전에 제거하는 방법으로, 석탄 탈황, 석유 탈황 등이 있다. 석탄 탈황에는 물리적 탈황, 화학적 탈황, 생물학적 탈황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석유 탈황은 주로 수소화 탈황(Hydrodesulfurization, HDS) 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 배연 탈황: 연소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습식 석회석-석고법, 건식 활성탄 흡착법 등이 있다. 습식 석회석-석고법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로, 석회석 슬러리를 이용하여 이산화황을 흡수하고 석고를 생산한다.
  • 공정 탈황: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황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제철, 제련, 화학 공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탈황 기술의 발전

탈황 기술은 환경 규제 강화와 함께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탈황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부산물을 활용하는 기술 개발도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배연 탈황 과정에서 생성되는 석고는 건축 자재 등으로 재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