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운모
흑운모 (黑雲母, biotite)는 조성이 복잡한 규산염 광물로, 운모족에 속한다. 화학식은 K(Mg,Fe)3AlSi3O10(F,OH)2이며, 얇은 판상으로 쪼개지는 벽개성이 뛰어나다. 이름은 검은색을 띠는 운모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특징
- 색: 짙은 갈색, 흑색, 녹색을 띤 흑색 등 다양하며, 드물게는 황색이나 무색을 띠기도 한다.
- 결정계: 단사정계
- 쪼개짐: 완전한 판상 쪼개짐 (기저면 {001})
- 굳기: 2.5 - 3 (모스 굳기계)
- 광택: 유리 광택, 진주 광택
- 조흔색: 흰색
- 투명도: 박편에서는 투명하거나 반투명
- 비중: 2.7 - 3.4
산출
흑운모는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산출된다. 특히 화강암, 섬록암, 반려암과 같은 심성암이나 유문암, 안산암과 같은 화산암에서 흔히 발견된다. 또한 편마암, 편암과 같은 변성암에서도 산출되며, 사암과 같은 퇴적암의 쇄설성 입자로도 존재한다.
용도
흑운모는 단열재, 절연재, 충전재 등으로 사용된다. 과거에는 창문이나 난로의 창으로도 사용되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장식용으로도 이용된다. 또한,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법을 이용하여 암석의 절대 연령을 측정하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
구성 성분
흑운모는 다양한 원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철(Fe)과 마그네슘(Mg)의 함량 비율에 따라 화학적 조성이 달라진다. 또한, 수산기(OH)나 불소(F)를 포함하기도 한다. 흑운모의 화학적 조성은 광물이 형성된 환경 조건을 반영하므로, 암석의 성인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