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시내버스

시내버스는 특정 도시 또는 도시권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일반적으로 정해진 노선을 따라 정류장에 정차하며 승객을 수송하는 버스를 말한다. 도시의 주요 지역과 주거 지역을 연결하고, 지하철이나 철도 등의 다른 대중교통 수단과 연계하여 도시 교통 체계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한다.

특징

  • 정해진 노선: 미리 결정된 노선을 따라 운행하며, 노선 번호와 함께 노선도가 공개되어 있다.
  • 정류장: 노선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정류장이 설치되어 있으며, 승객은 정류장에서 승하차한다.
  • 요금: 일반적으로 현금, 교통카드, 또는 모바일 앱 등을 이용하여 요금을 지불한다. 요금은 거리, 노선, 또는 시간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다양한 차종: 도시의 특성과 수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버스가 운행된다. 저상버스, 굴절버스, 전기버스 등이 대표적이다.
  • 대중교통 체계의 핵심: 도시 내 이동을 위한 필수적인 교통 수단이며, 지하철, 철도, 택시 등 다른 교통 수단과 연계하여 도시 교통 체계를 구성한다.

운영

시내버스는 일반적으로 지방자치단체 또는 민간 운송 업체에서 운영한다. 노선 조정, 운행 시간, 요금 등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역사

한국의 시내버스는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되었으며, 해방 이후 도시화와 함께 발전해왔다. 현재는 다양한 기술과 서비스를 도입하여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인 대중교통 수단으로 발전하고 있다.

장점

  • 접근성: 지하철이나 철도에 비해 노선이 촘촘하여 도시 내 어디든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다.
  • 경제성: 자가용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 환경 친화성: 대중교통 이용은 자가용 이용을 줄여 교통 체증 완화 및 환경 보호에 기여한다.

단점

  • 교통 체증: 교통 체증의 영향을 많이 받아 정시성이 떨어진다.
  • 혼잡: 출퇴근 시간 등 특정 시간대에 혼잡도가 높다.
  • 긴 이동 시간: 자가용에 비해 이동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