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8,062건

이방

이방(吏房)은 조선 시대의 중앙 행정 기구인 육조(六曹) 중 하나이다. 관리의 인사(人事) 업무를 총괄하였다. 육조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이 큰 부서로 여겨졌다.

개요 이방은 국가의 모든 문관(文官)에 대한 임명, 승진, 전보, 해임 등의 인사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였다. 조선 왕조의 통치 시스템에서 관료제의 핵심 기능을 수행했으며, 국가 운영에 필요한 인적 자원을 관리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했다.

조직 및 기능 이방은 정2품의 판서(判書)를 수장으로 하며, 그 아래 정2품의 참판(參判), 정3품의 참의(參議) 등의 고위직과 여러 낭관(郎官, 실무 관리)들로 구성되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문관의 임용, 승진, 좌천, 해임 등 인사 관리 전반
  • 관료의 근무 실적 및 자질 평가(考課)
  • 과거(科擧) 제도의 운영 및 관리 (인재 선발)
  • 인사 관련 법규 및 제도의 정비
  • 왕명에 따른 인사 정책의 수립 및 집행

위상과 중요성 이방은 국정 전반에 걸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모든 관료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었기 때문에 권력이 집중되었고, 이는 때로는 정치적 다툼이나 부패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동시에 이방은 국가를 운영하는 데 필수적인 인적 자원 관리 시스템을 유지하는 핵심 기관으로서 조선 왕조의 안정적인 통치에 기여했다.

참고 항목

  • 육조
  • 판서
  • 호방, 예방, 병방, 형방, 공방 (다른 육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