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소뇌각

소뇌각 (小腦脚, cerebellar peduncle)은 뇌간과 소뇌를 연결하는 신경 섬유 다발이다. 소뇌는 운동 조절, 평형 유지, 그리고 인지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뇌간과의 연결을 통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한다. 소뇌각은 크게 세 개의 쌍으로 구성된다: 하소뇌각 (inferior cerebellar peduncle), 중소뇌각 (middle cerebellar peduncle), 그리고 상소뇌각 (superior cerebellar peduncle). 각 각은 고유한 기능과 연결 경로를 가지고 있다.

  • 하소뇌각 (Inferior Cerebellar Peduncle): 하소뇌각은 주로 척수, 뇌간의 전정핵 및 망상체로부터 정보를 받아 소뇌로 전달한다. 이를 통해 자세, 균형, 그리고 운동 조절에 필요한 감각 정보를 소뇌에 제공한다. 여기에는 후척수소뇌로 (posterior spinocerebellar tract), 전정소뇌 섬유 (vestibulocerebellar fibers), 그리고 망상소뇌 섬유 (reticulocerebellar fibers) 등이 포함된다.

  • 중소뇌각 (Middle Cerebellar Peduncle): 중소뇌각은 뇌교 (pons)로부터 정보를 받아 소뇌로 전달한다. 뇌교는 대뇌 피질로부터 운동 계획 정보를 받아 이를 소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중소뇌각은 이러한 정보 전달의 주요 경로이다. 뇌교소뇌 섬유 (pontocerebellar fibers)가 중소뇌각을 구성한다.

  • 상소뇌각 (Superior Cerebellar Peduncle): 상소뇌각은 소뇌에서 뇌간, 특히 적핵 (red nucleus)과 시상 (thalamus)으로 정보를 전달한다. 이는 소뇌의 운동 조절 출력이 뇌간과 대뇌 피질로 전달되는 주요 경로이다. 치상적핵로 (dentatorubral tract)와 치상시상로 (dentatothalamic tract)가 상소뇌각을 구성한다.

소뇌각의 손상은 운동 실조 (ataxia), 균형 장애, 그리고 기타 운동 조절 관련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손상의 위치와 정도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은 다양하며, 진단은 신경학적 검사와 뇌 영상 기법 (MRI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