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299건

노이무공

노이무공 (老而無功)은 나이는 많으나 이룬 공이 없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주로 오랜 시간을 들여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을 때 자조적으로 사용하거나, 다른 사람을 폄하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유래

정확한 문헌적 유래는 명확하지 않으나, 오랜 경험과 연륜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결과가 없는 상황을 빗대어 표현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표현으로 추정된다. 비슷한 의미를 내포하는 고사성어로는 ‘낭비지탄(浪費之嘆)’이나 ‘주경야독(晝耕夜讀)’과 같이 노력에 비해 결과가 미미함을 나타내는 표현들이 있다.

의미

  • 노(老): 나이가 많음. 오랜 시간이 지났음.
  • 이(而): (순접) 그리고, 그러나.
  • 무(無): 없음. 존재하지 않음.
  • 공(功): 공로, 업적, 성과.

따라서 노이무공은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눈에 띄는 성과나 업적이 없음을 의미한다. 개인의 노력 부족, 시대적 상황의 어려움, 또는 방법론의 오류 등 다양한 원인이 작용할 수 있다.

용례

  • "나는 평생을 그림에 바쳤지만, 아직까지 인정받는 작품 하나 없다니, 그야말로 노이무공이 아닌가 싶다."
  • "그는 20년 동안 연구에 매달렸지만, 획기적인 발견은커녕 논문 한 편 제대로 발표하지 못했으니 노이무공이라 할 수밖에 없다."
  • "그렇게 오랜 시간 투자했는데, 결과가 시원치 않으니 노이무공이네."

비슷한 표현

  • 낭비지탄(浪費之嘆)
  • 주경야독(晝耕夜讀) (노력에 비해 결과가 미미한 경우)
  • 수포로 돌아가다
  • 헛수고

반대되는 표현

  • 노당익장(老當益壯): 나이가 들수록 더욱 굳세어짐.
  • 대기만성(大器晩成):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