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로아시아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Austroasiatic languages)은 인도,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지역에 걸쳐 분포하는 어족이다. '남아시아'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약 1억 명의 화자를 보유하고 있다. 몬어족-크메르어족으로도 불리기도 했으나, 현재는 160여 개의 언어를 포함하는 어족으로 분류된다.
특징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성조 유무: 일부 언어(베트남어, 무온어 등)는 성조를 가지지만, 대부분의 언어(크메르어, 몬어 등)는 성조가 없다. 이는 지역적 영향으로 추정된다.
- 어순: 기본적인 어순은 SVO(주어-동사-목적어)형태를 띄지만, 언어에 따라 다른 어순을 보이기도 한다.
- 단음절어: 많은 언어가 단음절어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인접한 중국어족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 굴절 부재: 굴절이 발달하지 않아 어미 변화를 통한 문법적 관계 표시는 미미하다.
- 포함된 언어의 다양성: 어족 내 언어 간의 유사성이 낮아 어족 내부의 계통 분류가 복잡하며, 아직 논쟁의 여지가 남아있다.
하위 분류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하위 분류는 학자마다 다소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몬다어족 (Munda languages): 인도 중부 및 동부에 분포하며, 산탈어, 문다리어 등이 속한다.
- 크메르어족 (Khmer languages):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분포하며, 크메르어가 대표적이다.
- 몬어족 (Mon languages): 미얀마 남부와 태국에 분포하며, 몬어가 대표적이다.
- 베트-무온어족 (Viet-Muong languages): 베트남과 라오스에 분포하며, 베트남어와 무온어가 속한다.
- 아슬리어족 (Aslian languages): 말레이반도에 분포한다.
- 니코바르어족 (Nicobarese languages): 니코바르 제도에 분포한다.
- 카시어족 (Khasi languages): 인도 메갈라야 주에 분포하며, 카시어가 대표적이다.
- 팔라웅어족 (Palaungic languages): 미얀마, 중국 남부, 태국 북부에 분포한다.
역사 및 연구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기원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남아시아 지역에서 기원하여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19세기부터 언어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기 시작했으며, 특히 몬다어족과 크메르어족의 관계가 주목받았다. 현대에는 전산 언어학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