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09건

남사당

남사당은 조선 후기 전국을 유랑하며 춤, 노래, 곡예 등을 공연하던 유랑 예인 집단이다. 1964년 중요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된 남사당놀이의 주체이기도 하다.

개요

남사당패는 우두머리인 뜬쇠를 중심으로, 다양한 재주를 가진 남성들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농촌 사회를 순회하며 장터나 마을 마당에서 공연을 펼치고, 그 대가로 곡식이나 돈을 받아 생활했다. 남사당패는 풍물, 버나, 살판, 어름, 덧뵈기, 인형극(덜미) 등 다양한 연희를 선보였으며, 서민들의 애환을 담아낸 해학과 풍자가 넘치는 공연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역사

남사당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고려 시대부터 존재했다는 설, 조선 후기 사회 변화와 함께 등장했다는 설 등이 있다. 남사당패는 조선 후기 전국 각지를 유랑하며 서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사회 변화 속에서 점차 쇠퇴하였다. 1964년 남사당놀이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면서 남사당 문화의 보존 및 전승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구성

남사당패는 뜬쇠(우두머리), 꼭두쇠(버금 우두머리), 가열(단원) 등으로 구성된다. 각 가열은 풍물, 버나, 살판, 어름, 덧뵈기, 덜미 등 각자의 특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협력하여 다채로운 공연을 만들어낸다.

남사당놀이의 종류

남사당놀이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1. 풍물: 농악이라고도 불리며, 꽹과리, 징, 장구, 북 등의 악기를 연주하며 흥을 돋운다.
  2. 버나: 접시, 담뱃대 등을 공중에 던지고 받는 기술을 선보인다.
  3. 살판: 땅재주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재주넘기를 선보인다.
  4. 어름: 줄타기라고도 불리며, 줄 위에서 다양한 묘기를 선보인다.
  5. 덧뵈기: 탈춤의 일종으로, 익살스러운 춤과 재담을 통해 관객들에게 웃음을 선사한다.
  6. 덜미: 인형극의 일종으로, 박첨지 인형을 이용하여 사회 풍자적인 내용을 담아낸다.

의의

남사당은 조선 후기 서민 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으며, 다양한 연희를 통해 서민들의 애환을 달래고 즐거움을 선사했다. 또한, 남사당놀이는 한국 전통 연희의 중요한 유산으로, 오늘날까지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