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3,737건

여성주의

여성주의(女性主義, feminism)는 여성의 권리와 기회의 평등을 옹호하는 다양한 사회 이론, 정치 운동 및 도덕 철학의 집합체이다. 이는 성별에 따른 불평등을 비판하고,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재정의하며,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사회적, 정치적 변화를 추구한다.

개념 및 역사

여성주의는 가부장제 사회 구조 속에서 여성이 겪는 차별과 억압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한다. 여성주의 이론은 성별, 성적 지향, 인종, 계급 등 다양한 요인이 여성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사회 전반에 걸친 성차별적 관행과 제도를 비판한다.

여성주의 운동은 역사적으로 여러 물결을 거쳐 발전해 왔다.

  • 제1물결 여성주의 (19세기 말 - 20세기 초): 주로 여성의 참정권 획득을 목표로 했다.
  • 제2물결 여성주의 (1960년대 - 1980년대): 성차별 철폐, 직업 평등, 재생산 권리 등 사회 전반에 걸친 여성의 권리 신장을 추구했다.
  • 제3물결 여성주의 (1990년대 이후): 다양한 여성의 경험을 포괄하고, 성별 이분법적 사고를 비판하며, 개인의 선택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 제4물결 여성주의 (2010년대 이후): 소셜 미디어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성폭력, 성희롱, 온라인 혐오 등 새로운 형태의 성차별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

주요 이론

여성주의는 다양한 이론적 관점을 포함한다.

  • 자유주의 여성주의: 법적, 정치적 평등을 통해 여성의 권리 신장을 추구한다.
  • 사회주의 여성주의: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의 결합이 여성 억압의 근원이라고 보고, 사회 경제적 구조 변화를 통해 여성 해방을 추구한다.
  • 급진적 여성주의: 가부장제를 여성 억압의 근본 원인으로 보고, 성별 역할과 가족 제도 등 사회 구조의 근본적인 변화를 주장한다.
  • 문화 여성주의: 여성의 고유한 문화와 가치를 긍정하고, 남성 중심 문화에 대한 대안을 모색한다.
  • 교차성 여성주의: 성별, 인종, 계급 등 다양한 정체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차별과 억압에 주목한다.

논쟁과 비판

여성주의는 다양한 관점과 주장을 포함하기 때문에 내부적으로도 논쟁이 존재한다. 또한, 일부에서는 여성주의가 남성을 혐오하거나 특정 집단의 여성만을 대변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그러나 여성주의자들은 이러한 비판에 대해 여성의 평등과 사회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운동의 본질을 왜곡하는 것이라고 반박한다.

관련 용어

  • 가부장제
  • 성차별
  • 젠더
  • 성평등
  • 미소지니
  • 남성성
  • 여성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