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6,088건

스토쿠 천황

스토쿠 천황(崇徳天皇, 1119년 7월 7일 ~ 1164년 9월 14일) 은 일본의 제75대 천황(재위: 1123년 ~ 1142년)이다. 휘(諱)는 아키히토(顕仁)이다. 아버지인 도바 천황과 어머니 다이켄몬인(待賢門院)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지나, 실제로는 할아버지인 시라카와 상황의 아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생애

5세의 어린 나이로 아버지 도바 천황으로부터 양위를 받아 즉위했다. 그러나 도바 상황은 인세이(院政)를 펼치며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했고, 스토쿠 천황은 정치적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도바 상황은 스토쿠 천황을 탐탁치 않아 했으며, 고노에 천황을 옹립하고자 했다.

1142년, 도바 상황의 압력으로 스토쿠 천황은 동생인 고노에 천황에게 양위하게 된다. 이후 스토쿠 상황은 인세이를 펼치려 했으나, 도바 상황의 견제로 인해 뜻을 이루지 못했다. 고노에 천황이 젊은 나이에 승하하자, 후계자 문제로 도바 상황과 스토쿠 상황 사이에 갈등이 심화되었다. 도바 상황은 자신의 총애를 받던 마사히토 친왕(후의 고시라카와 천황)을 옹립했고, 스토쿠 상황은 자신의 아들 시게히토 친왕을 천황으로 세우려 했다.

1156년, 도바 상황이 사망하자 스토쿠 상황과 고시라카와 천황 사이에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 이른바 호겐의 난(保元の乱)이다. 스토쿠 상황은 미나모토노 다메요시, 다이라노 다다마사와 연합하여 고시라카와 천황에 대항했지만, 결국 패배했다.

패배 후 스토쿠 상황은 사누키(讃岐, 현재의 가가와현)로 유배되었다. 유배지에서 그는 불경에 몰두하며 여생을 보냈다. 스토쿠 상황은 자신의 저주가 일본에 재앙을 가져올 것이라는 생각을 품게 되었고, 그 원령(怨霊)은 일본 역사 속에서 두려움의 대상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사후

스토쿠 천황은 사후에도 원령으로 숭배받으며, 일본 3대 악귀 중 하나로 여겨진다. 그의 저주를 달래기 위해 다양한 신사가 세워졌으며, 오늘날까지도 일본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