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 분류 단계
생물 분류 단계는 생물들을 공통된 특징에 따라 계층적으로 묶어 체계화하는 방법으로, 생물 다양성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필수적인 틀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류 단계는 다음과 같다.
- 역 (Domain): 가장 상위 단계로, 진정세균역, 고세균역, 진핵생물역의 세 가지 역이 존재한다.
- 계 (Kingdom): 역 아래 단계로, 동물계, 식물계, 균계, 원생생물계, 세균계, 고세균계 등이 있다.
- 문 (Phylum): 계 아래 단계로, 동물계의 척삭동물문, 절지동물문 등이 있다. 식물계에서는 종자식물문, 속새식물문 등이 있다.
- 강 (Class): 문 아래 단계로, 척삭동물문의 포유강, 조강, 어강 등이 있다. 절지동물문에서는 곤충강, 갑각강 등이 있다.
- 목 (Order): 강 아래 단계로, 포유강의 식육목, 영장목, 우제목 등이 있다. 곤충강에서는 딱정벌레목, 나비목 등이 있다.
- 과 (Family): 목 아래 단계로, 식육목의 개과, 고양이과, 곰과 등이 있다. 영장목에서는 사람과, обезьяна과 등이 있다.
- 속 (Genus): 과 아래 단계로, 개과의 Canis속, Vulpes속 등이 있다. 사람과의 Homo속 등이 있다.
- 종 (Species): 가장 하위 단계로, 생물 분류의 기본 단위이다. Homo sapiens (사람), Canis lupus (늑대) 등이 있다.
이러한 분류 단계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며, 새로운 연구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아문(Subphylum), 아강(Subclass), 아목(Suborder) 등과 같이 세분화된 단계를 추가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생물 분류 단계를 통해 생물들의 진화적 관계를 추론하고, 생물 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구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