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3,935건

진골

진골(眞骨)은 신라 시대의 독자적인 신분 제도인 골품제도(骨品制度)에서 성골(聖骨) 다음 가는 두 번째로 높은 신분이었다.

개요 신라의 골품제는 혈통에 따라 정치 활동, 사회생활, 심지어 혼인, 집의 규모, 수레의 모양, 옷의 색깔 등에 이르기까지 개인의 모든 것을 엄격하게 규제한 폐쇄적인 신분 제도였다. 골품은 크게 성골, 진골, 그리고 두품(頭品: 6두품, 5두품, 4두품 등)으로 나뉘었다.

위치와 구성원 진골은 성골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계층이었으며, 성골이 점차 사라지거나 남계(男系)가 단절된 후에는 사실상 신라 사회의 가장 강력한 지배 신분이 되었다. 진골의 구성원은 주로 신라 왕실의 방계 자손이나, 부모 양계(兩系)가 모두 왕족 또는 진골 출신인 사람들이 속했다. 이들은 왕실과 가장 가까운 혈통을 가진 귀족 세력을 형성했다.

권력과 특권 진골 귀족은 신라 사회의 핵심 지배층으로서 막대한 권력과 부를 누렸다. 골품제에 따라 진골은 최고 관등인 이벌찬(伊伐湌, 혹은 이찬)을 비롯하여 중앙과 지방의 주요 고위 관직을 독점했다. 국가의 중요한 정책 결정에 참여하고, 군사 지휘권을 장악했으며, 광대한 토지와 노비를 소유하여 경제적 기반도 탄탄했다. 혼인이나 사회 활동에서도 성골 다음으로 가장 넓은 범위를 허용받았다.

왕위 계승과의 관계 초기 신라에서는 성골만이 왕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이 강했으나, 성골 남계가 단절된 후에는 진골에서도 왕이 선출되기 시작했다. 태종 무열왕(김춘추)을 시작으로 많은 왕들이 진골 출신이었으며, 이는 진골 세력이 왕위 계승의 주체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역사적 중요성 진골 세력은 신라의 정치와 역사를 이끌어간 주역이었다. 삼국 통일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통일 신라 시대에는 귀족 정치의 중심이 되었다. 그러나 진골 세력 내에서도 왕위 계승이나 권력을 둘러싼 다툼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신라 하대(下代)의 혼란을 야기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폐지 진골을 비롯한 골품제도는 신라가 멸망하고 고려가 건국되면서 점차 해체되고 소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