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염색체
성염색체는 생물의 성별을 결정하는 염색체이다. 대부분의 동물(인간 포함)은 한 쌍의 성염색체를 가지고 있으며, 나머지 염색체들은 상염색체라고 불린다. 성염색체의 조합에 따라 개체의 성별이 결정된다.
성 결정 방식
성염색체 조합에 따른 성 결정 방식은 생물 종에 따라 다양하다. 몇 가지 일반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다.
- XY 방식: 인간을 포함한 많은 포유류에서 사용되는 방식이다. 암컷은 XX 염색체 쌍을, 수컷은 XY 염색체 쌍을 가진다. Y 염색체에는 SRY 유전자와 같이 남성 발생에 중요한 유전자가 포함되어 있다.
- ZW 방식: 조류, 일부 곤충, 어류 등에서 사용되는 방식이다. 수컷은 ZZ 염색체 쌍을, 암컷은 ZW 염색체 쌍을 가진다.
- X0 방식: 일부 곤충에서 사용되는 방식이다. 암컷은 XX 염색체를 가지며, 수컷은 하나의 X 염색체(X0)만 가진다. '0'은 성염색체가 없음을 의미한다.
- Haplo-diploidy (반수배수성): 벌, 개미 등과 같은 벌목 곤충에서 사용되는 방식이다. 암컷은 수정란에서 발생하여 2배체(diploid) 염색체 수를 가지며, 수컷은 미수정란에서 발생하여 반수체(haploid) 염색체 수를 가진다.
성염색체 이상
성염색체 수 또는 구조에 이상이 생기면 다양한 유전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에게서 다음과 같은 성염색체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 터너 증후군 (Turner syndrome): 여성에게 X 염색체가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X0)
- 클라인펠터 증후군 (Klinefelter syndrome): 남성에게 X 염색체가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XXY, XXXY 등)
- 트리플 X 증후군 (Triple X syndrome): 여성에게 X 염색체가 세 개 존재하는 경우 (XXX)
- XYY 증후군 (XYY syndrome): 남성에게 Y 염색체가 두 개 존재하는 경우 (XYY)
이러한 성염색체 이상은 발달, 생식 능력, 전반적인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