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9,322건

명령 프롬프트

명령 프롬프트는 컴퓨터 운영체제에서 사용자가 텍스트 기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종이다. 흔히 명령줄 인터페이스(CLI: Command Line Interface) 또는 명령어 인터프리터의 시각적인 부분을 가리킨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와 달리 마우스 클릭이나 드래그와 같은 시각적인 조작 없이, 키보드를 사용하여 직접 명령어를 입력하고 해당 명령어의 실행 결과를 텍스트로 확인하는 방식으로 컴퓨터와 상호작용한다.

기능

명령 프롬프트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 명령어 입력 및 실행: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명령어를 받아들이고, 해당 명령어를 운영체제나 특정 프로그램에 전달하여 실행한다.
  • 출력 표시: 명령어 실행 결과나 프로그램의 출력을 텍스트 형태로 화면에 보여준다.
  • 파일 시스템 탐색: 디렉터리(폴더) 이동, 파일 복사, 이동, 삭제 등 파일 시스템 관련 작업을 수행한다.
  • 프로그램 실행: 실행 파일의 이름을 입력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 시스템 설정 변경: 네트워크 설정, 사용자 관리, 환경 변수 설정 등 다양한 운영체제 설정을 변경한다.
  • 스크립트 실행: 여러 명령어를 미리 작성해 둔 배치 파일(Windows)이나 셸 스크립트(Unix/Linux)를 실행하여 작업을 자동화한다.

운영체제별 구현

명령 프롬프트의 기능은 운영체제마다 다른 셸(Shell)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된다.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전통적으로 cmd.exe라는 실행 파일로 제공되는 '명령 프롬프트'가 사용되어 왔으며, MS-DOS의 명령 체계를 상당 부분 계승한다. 이후 파워셸(PowerShell)이라는 보다 강력하고 객체 지향적인 셸 환경이 도입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유닉스, 리눅스, macOS: Bash(Bourne Again Shell), Zsh(Z Shell), Ksh(Korn Shell), Sh(Bourne Shell), Csh(C Shell) 등 다양한 셸이 존재하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터미널 에뮬레이터'(Terminal Emulator)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접근한다. 터미널 에뮬레이터는 하드웨어 터미널의 기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모방한 것으로, 이 창 안에서 셸 프로그램과 상호작용하게 된다.

넓은 의미에서 '명령 프롬프트'는 이러한 텍스트 기반의 상호작용 환경 전반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는 GUI 환경이 보편화되기 전에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주된 방식이었으며, 현재에도 시스템 관리, 개발, 자동화 등 전문적인 작업에 필수적으로 활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