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
산학은 산업체와 학교(주로 대학) 간의 협력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이러한 협력은 교육, 연구, 기술 개발, 인력 양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주요 내용
-
협력 분야: 산학 협력은 기술 이전, 공동 연구 개발, 학생 인턴십, 주문식 교육 과정 개설, 산업체 전문가의 강의 참여, 산업체 위탁 연구, 창업 지원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목표: 산학 협력의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대학의 연구 성과를 산업 현장에 적용하여 기술 혁신을 촉진
- 산업체의 기술적 문제 해결을 위한 대학의 연구 역량 활용
- 산업 현장이 요구하는 실무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
- 대학생들에게 현장 경험 기회를 제공하여 취업 경쟁력 강화
-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
-
법적 근거: 대한민국에서는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산학 협력이 장려되고 있다.
-
장점 및 단점: 산학 협력은 참여 기관 모두에게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지만, 협력 과정에서 이해 상충, 지식 재산권 문제, 연구 결과의 상업화 지연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
관련 기관: 산학 협력을 지원하는 다양한 정부 기관 및 민간 단체가 존재하며, 대학 내 산학협력단이 대표적인 협력 주체이다.
참고 문헌
-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같이 보기
- 기술 이전
- 창업
- 연구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