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0,058건

북서캅카스어족

북서캅카스어족은 캅카스산맥 북서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족이다. 아바스고-아디게어족(Abasgo-Adygean)이라고도 불린다. 이 언어족은 압하스어, 아바자어, 체르케스어(아디게어, 카바르다어), 그리고 과거에 사용되었던 우비흐어 등으로 구성된다. 다른 언어족과의 유연 관계는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으며, 특히 이웃한 북동캅카스어족과의 관계를 주장하는 북캅카스어족 가설이 있으나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고 독립적인 언어족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다.

분류

북서캅카스어족의 주요 분류는 다음과 같다.

  • 압하스-아바자어파: 압하스어, 아바자어
  • 체르케스어파: 아디게어 (서체르케스어), 카바르다어 (동체르케스어)
  • 우비흐어: 1992년 마지막 화자의 사망으로 사멸하였다. 체르케스어파와 가까운 관계로 보기도 한다.

지리적 분포

주로 러시아의 아디게아 공화국,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아 공화국, 카바르디노-발카리아 공화국 등과 사실상 독립 상태인 압하스 지역에서 사용된다. 또한, 오스만 제국의 캅카스 전쟁 이후 이주한 공동체를 중심으로 터키, 요르단, 시리아 등지에서도 화자들이 있다.

언어적 특징

북서캅카스어족은 몇 가지 두드러지는 언어적 특징을 보인다.

  • 음운론: 매우 복잡한 자음 체계를 가지며, 많은 수의 자음과 비교적 적은 수의 모음을 특징으로 한다. 후음, 인두음 등 다양한 조음 위치의 자음들이 나타난다.
  • 형태론: 동사가 매우 복잡한 문법 범주(주어, 직접 목적어, 간접 목적어, 위치 등)를 표시하는 포합어적(Polysynthetic) 또는 고도의 교착어적(Agglutinative) 특징을 보인다. 명사 격 변화는 비교적 단순한 편이다.

현황

북서캅카스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은 대부분 화자 수가 비교적 적고, 러시아어 및 현지 공용어와의 접촉으로 인해 사멸 위기에 처해 있거나 취약한 상태이다. 우비흐어는 완전히 사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