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액
췌장액은 척추동물의 췌장에서 분비되는 알칼리성 소화액이다. 십이지장으로 분비되어 위에서 내려온 산성 미즙을 중화하고, 다양한 소화 효소를 포함하여 음식물 소화를 돕는다.
구성 성분
췌장액의 주요 구성 성분은 다음과 같다.
- 물: 췌장액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소화 효소와 기타 성분을 용해시키는 역할을 한다.
- 중탄산염 (탄산수소이온): 췌장액의 알칼리성을 유지하는 핵심 성분으로, 위산으로 인해 산성화된 십이지장의 pH를 중화시켜 소화 효소가 최적의 환경에서 작용하도록 돕는다.
- 소화 효소: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 다양한 영양소를 분해하는 효소들을 포함한다. 주요 효소는 다음과 같다.
- 아밀레이스: 녹말 (탄수화물)을 덱스트린과 맥아당으로 분해한다.
- 트립신, 키모트립신, 카르복시펩티다아제: 단백질을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으로 분해한다. 트립신과 키모트립신은 비활성형인 트립시노겐, 키모트립시노겐으로 분비되어 십이지장에서 활성화된다.
- 리파아제: 지방을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한다. 콜리파아제와 함께 작용하여 효율적인 지방 소화를 돕는다.
- 뉴클레아제 (DNAase, RNAase): 핵산 (DNA, RNA)을 뉴클레오티드로 분해한다.
분비 조절
췌장액의 분비는 신경 및 호르몬에 의해 조절된다.
- 신경 조절: 미주신경 자극은 췌장액 분비를 촉진한다.
- 호르몬 조절: 십이지장에서 분비되는 세크레틴과 콜레시스토키닌 (CCK)이 췌장액 분비를 조절하는 주요 호르몬이다. 세크레틴은 중탄산염이 풍부한 췌장액 분비를 촉진하고, CCK는 소화 효소가 풍부한 췌장액 분비를 촉진한다.
관련 질환
췌장의 기능 이상은 췌장액 분비에 영향을 미쳐 다양한 소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대표적인 질환은 다음과 같다.
- 췌장염: 췌장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췌장 효소가 췌장 자체를 손상시킬 수 있다.
- 낭성 섬유증: 췌장액이 끈적해져 췌관을 막아 소화 효소 분비를 방해할 수 있다.
- 췌장암: 췌장 세포의 악성 종양으로, 췌장액 분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