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크
밀크 (영어: Milk)는 포유류의 젖샘에서 분비되는 흰색 액체로, 새끼의 주요 영양 공급원이다. 일반적으로 소, 염소, 양, 낙타 등 다양한 동물의 젖이 식용으로 사용되며, 특히 소젖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소비되는 밀크이다. 밀크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 미네랄 등 필수 영양소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완전식품에 가깝다고 평가받는다.
성분 및 영양
밀크의 주요 성분은 수분, 지방, 단백질, 유당(젖당), 무기질로 구성된다. 밀크의 종류, 품종, 사육 환경 등에 따라 성분 함량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단백질: 카세인, 유청 단백질 등 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한 양질의 단백질을 제공한다.
- 지방: 에너지 공급원이며,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를 돕는다.
- 유당: 밀크에만 존재하는 탄수화물로, 소화 과정에서 갈락토오스와 글루코오스로 분해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유당 불내증이 있는 사람은 유당 소화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 무기질: 칼슘, 인, 칼륨 등 뼈 건강에 필수적인 무기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 비타민: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B12 등 다양한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다.
종류
- 우유 (소젖): 가장 일반적인 밀크로, 살균, 멸균 과정을 거쳐 다양한 형태로 판매된다.
- 염소젖: 독특한 풍미를 가지고 있으며, 소젖에 비해 소화가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 양젖: 지방 함량이 높아 진하고 고소한 맛이 있으며, 치즈 제조에 주로 사용된다.
- 낙타젖: 비타민 C 함량이 높고,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 식물성 밀크: 두유, 아몬드 밀크, 귀리 밀크, 코코넛 밀크 등 콩, 견과류, 곡물 등을 원료로 만든 밀크 대체 음료이다. 유당 불내증이 있거나 채식주의자에게 적합하다.
활용
밀크는 음료로 직접 섭취하거나, 시리얼, 커피, 차 등 다양한 음식에 첨가하여 섭취한다. 또한, 치즈, 버터, 요거트, 아이스크림 등 유제품 제조의 주원료로 사용되며, 제빵, 제과 등 다양한 요리에도 활용된다.
주의사항
- 유당 불내증이 있는 사람은 유당이 제거된 밀크나 식물성 밀크를 섭취하는 것이 좋다.
-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특정 밀크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섭취를 피해야 한다.
- 지방 함량이 높은 밀크는 과다 섭취 시 체중 증가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정량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