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8,199건

민물삿갓조개

민물삿갓조개는 민물에 서식하는 복족류(달팽이류)의 일종으로, 삿갓 모양의 껍데기를 가진 것을 통틀어 이르는 일반적인 명칭이다. 주로 바위나 수중 식물 표면에 붙어 생활하며 담수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원이다.

형태 껍데기는 낮고 넓은 원뿔 형태이며, 한국의 전통 모자인 삿갓과 유사한 모양을 하고 있다. 껍데기 높이가 낮고 밑면이 넓어 납작해 보인다. 껍데기 표면은 매끈하거나 성장선이 뚜렷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크기는 보통 몇 밀리미터에서 1센티미터 내외로 소형 연체동물에 속한다. 껍데기 아래에는 넓은 발이 있어 이를 이용해 표면을 기어 다니며 이동한다.

서식 및 분포 하천, 강, 호수, 연못 등 다양한 민물 환경에서 발견된다. 주로 물 속의 바위, 돌, 수중 식물, 쓰러진 나뭇가지, 또는 다른 조개류의 껍데기 등에 단단히 붙어 서식한다. 물살이 빠르지 않은 곳이나 비교적 깨끗한 물에서 주로 관찰된다. 한국을 포함하여 전 세계의 온대 및 냉대 지역의 담수 환경에 여러 종이 분포하고 있다.

생태 주로 서식지 표면에 붙어 있는 조류(algae)나 규조류(diatoms)를 긁어 먹고 산다. 먹이를 찾아 표면을 천천히 이동하며 섭식한다. 일부 종은 자웅동체(암수한몸)의 생식 방식을 가지기도 한다. 하천이나 호수 생태계에서 생산자인 조류를 소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물고기나 수서 곤충 등의 먹이가 되기도 한다. 물 환경의 오염 정도를 파악하는 지표생물로 활용될 가능성도 있다.

분류 복족류(Gastropoda) 강에 속하며, 주로 담수 삿갓조개만을 포함하는 Ancylidae과나 Acroloxidae과 또는 Lymnaeidae과(논우렁이과)에 속하는 일부 삿갓 모양 종들이 민물삿갓조개로 불린다. 따라서 특정 하나의 분류군을 지칭하기보다는, 민물에 사는 삿갓 모양 껍데기를 가진 복족류를 묶어 부르는 일반적인 명칭으로 더 널리 사용된다. 한국에는 Ancylus속 등이 서식한다.

어원 이름은 '민물'에 사는, 삿갓 모양의 껍데기를 가진 '조개'(넓은 의미의 연체동물)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