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07건

명령형

명령형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과학에서 프로그램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구문을 사용하여 계산 과정을 설명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다. 이는 프로그램이 "무엇"을 계산해야 하는지 정의하는 선언형 프로그래밍과는 대조적이다. 명령형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하드웨어가 작동하는 방식과 매우 유사하게 동작한다. 즉, 메모리 위치에 값을 저장하고, 산술 연산을 수행하고, 조건에 따라 제어 흐름을 변경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명령형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래밍 역사 초기에 등장했으며, 현재도 널리 사용되는 기본적인 패러다임이다. 포트란(Fortran), C, 파스칼(Pascal) 등의 언어는 명령형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며,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인 C++와 자바(Java) 역시 명령형 프로그래밍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명령형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은 다음과 같다.

  • 변수: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위치. 변수의 값은 프로그램 실행 중에 변경될 수 있다.
  • 할당: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연산.
  • 제어 흐름: 프로그램 실행 순서를 결정하는 구조. 조건문 (if-else)과 반복문 (for, while) 등이 제어 흐름을 구성한다.
  • 함수 (또는 프로시저):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 함수는 프로그램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코드를 구조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명령형 프로그래밍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 직관성: 프로그램의 동작 방식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성능: 일반적으로 선언형 프로그래밍보다 실행 속도가 빠르다.
  • 제어: 하드웨어 수준의 세밀한 제어가 가능하다.

명령형 프로그래밍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 복잡성: 프로그램이 커질수록 코드가 복잡해지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진다.
  • 부작용: 함수가 프로그램의 상태를 변경하여 예상치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 병렬 처리: 병렬 처리가 어렵다.